4월 제주도 한 살 달기 숙소 선정 시 고려했던 여러 가지 조건과 그에 가장 부합하는 최종 선택 숙소를 소개합니다.
제주도 한달살기
한 달 살기 여행을 계획은 가장 먼저 숙소 예약부터 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주도는 국내 여행객과 해외 관광객 모두에게 인기 있는 여행지로, 매년 많은 사람들이 방문합니다. 한 달 살기를 전문으로 예약해주는 서비스도 많이 있으니 신뢰할수 있는 업체를 통해 안전하게 계약을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의 경우에는 작년 8월부터 한달살기를 계획하고 숙소를 알아봤는데요, 맘에 드는 숙소들은 이미 연말까지 예약이 다 차 있어서 고민하다가 아예 여유 있게 해를 넘겨 계절적으로도 좋은 4월 한 달로 예약을 했습니다. 미스터멘션, 에어비엔비, 마이리얼트립에서 많은 시간을 들여서 알아봤었는데요, 최종적으로는 블로그 소개글을 보고 주인분께 직접 연락해서 계약을 했습니다. 처음에는 전문서비스를 통한 계약 아니어서 불안한 마음이 있었지만 워낙 주인분께서 친절하시고 꼼꼼하게 일을 처리해 주시고 방문했던 분들의 평도 좋아 믿고 결정을 할 수 있었습니다.
숙소선정 조건
한 달 살기 숙소를 알아보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조건들은 기본적으로 가격, 위치, 시설, 안전, 그리고 손님방문 가능여부입니다. 첫번째 가격은 전체 예산중에 꾀 많은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가능한 예산을 고려하여 가격대비 만족도가 높은 숙소를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관광지가 그렇겠지만 제주도 숙소 가격 역시 계절따라 다르고고 여름 휴가나 추석, 설날 등의 연휴 기간에 따라서도 차이가 많이 나니 일정에 따라 잘 알아보고 선택을 하는것이 좋습니다. 두번째로는 중요한 조건은 숙소의 위치입니다. 시내 중심부에 위치한 숙소는 교통이 편리하며 주변에 먹거리, 쇼핑 등의 여가 시설이 많습니다. 하지만, 저의 경우에는 재택근무를 해야 했기 때문에 조용한 지역에서 자연과 함께 힐링을 할수 있는 곳인지를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세번째로 중요한 조건은 숙소의 시설입니다. 오랫동안 머물 숙소기 때문에 쾌적한 인테리어, 방의 갯수, 화장실 갯수, 무선인터넷, 바베큐시설, 정원 등을 갖추고 있는 곳을 선택했습니다. 네번째 중요한것은 안전입니다. 제주도는 많은 여행객이 방문하는 지역이기 때문에 안전한 숙소를 구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독채이면서도 주인분께서 가까이에 지내시는 점도 선택의 이유이기도 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손님방문 가능여부도 중요하게 생각했던 부분이였습니다. 한달살기 숙도들은 대부분 예약인원 이외의 손님방문이 불가능하거나, 가능하다 하더라도 인원과 날짜에 따라 추가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경우들이 많습니다. 저의경우 한 달 살기를 하는 동안 지인분들이 방문할 수 있도록 그런 제한이 없는 숙소를 선택하였습니다.
토끼발
제가 예약한 숙소는 한경면에 있는 깨끗하고 조용한 45평 독채펜션 '토끼발'입니다. 5인기준(최대 7인) 추가 인원이 있을 경우 인당 2만 원 추가만 하면 돼서 다른 숙소대비 추가 비용에 대한 부담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침대방이 1층과 2층에 있고, 화장실 2개, 테라스, 바베큐장, 아기자기한 3층 다락방, 감각적인 인테리어 소품들, 멀리 보이는 바다뷰 등이 제가 생각했던 여러 가지 조건을 충족하기에 충분했습니다. 직접 방문을 해보고 결정한 건 아니기 때문에 지금 자세한 소개를 해드릴 수는 없겠지만, 4월에 한 달 살기를 하면서 아기자기한 공간과 그 공간에서 보낸 스토리가 있는 시간들과 사람들의 얘기를 좀 더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주변에 가볼 만한 곳으로는 협재해수욕장, 판포포구, 수월봉, 저지오름 등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주요 관광지에 위치하고 있는 건 아니라서 카페나 식당을 이용하려고 하면 차로 이동 해야 하기 때문에 관광을 목적으로 한다면 좋은 위치는 아닐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는 이번 한 달 살기는 재택근무를 하면서 저녁이나 주말에 주변 관광을 하는 일상을 보내면서 힐링을 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주변의 인프라보다는 숙소 자체의 쾌적함을 더 중요하게 봤었던 것 같습니다. 많은 시간을 숙소에서 보내야 하기 때문에 신축, 프라이빗, 감성, 독채펜션, 감성적인 인테리어 소품들을 보고 결정을 했습니다.
댓글